무선으로 관측 데이터 전송…붕괴 위험 대응 가능 <br />초저전력 설계로 건전지 교체 없이 1년 운영 가능 <br />지진에도 활용 가능하도록 센서 성능 개선 계획<br /><br /> <br />도로 낙석 사고나 공사장 붕괴 사고 등은 언제 일어날지 미리 알 수가 없어 사전 대응이 매우 어려운데요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지반이나 구조물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해 LED 등으로 붕괴 징후를 알려주는 센서를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양훼영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도로가 비탈면에서 쏟아진 돌로 가득합니다. <br /> <br />가파른 산비탈이나 도로 주변에서 매년 붕괴 사고는 끊이질 않는데, 요즘처럼 해빙기가 되면 사고 위험이 더 커집니다. <br /> <br />공사장에서의 붕괴 사고도 마찬가지입니다. <br /> <br />낙석은 물론 지반, 구조물 붕괴 사고를 막으려면 무엇보다 미세한 변화도 사전에 알아차리는 게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기존에도 지반 계측 시스템이 있긴 하지만 가격이 비싸고, 전문적인 데이터값을 수치로 계산해야 해 현장에서의 활용도는 낮은 편입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국내 연구진이 미세한 지반 움직임을 감지해 반딧불처럼 LED 등으로 보여주는 센서를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붕괴 위험 지점에 실리콘 접착제로 간단하게 부착이 가능하며, 방향과 상관없이 0.03도의 미세한 움직임까지 감지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개발한 반딧불 센서는 이렇게 한낮에도 LED 등이 잘 보이도록 개발됐는데, 40m 떨어진 반대편에서는 물론이고, 최대 100m 밖에서도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합니다. <br /> <br />현장 경보등과 함께 변이 관측 데이터를 무선통신으로 전송해 어디서든 붕괴 위험에 바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조용호 / 반딧불 센서 공동개발기업 대표 : 동물이 건드리고 지났을 때의 진동, 또 보강공사가 일어나는 곳에서의 진동에 따른 오작동이 발생하는데, 이러한 부분들을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의 노하우를 전수받아 개발했습니다.] <br /> <br />개발한 센서는 초저전력 설계로 건전지 교체 없이 1년 동안 운영할 수 있으며, 1개 값이 10만 원대로 저렴해 전체 계측 시스템 구성에 대한 예산을 절반 이상 줄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백용 /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선임연구위원 : 산사태라든지 낙석이 발생하는 사면에도 적용되고, 임시 구조물 시설, 흙막이 공사라든지, 또 구조물 해체 공사 이런 데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반딧불 센서는 현재 GTX-A 노선의 한 구간을 비롯해 화학 공장과 하수처리장, 제주도 용암동굴 등에 시... (중략)<br /><br />YTN 양훼영 (hw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326042944002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